Site icon 정보 장터 캐시토피아

2025년 기초연금 수급자격 재산 기준 총정리

혹시 부모님이 만 65세 이상이신데, 재산이 많다는 이유로 기초연금 신청을 망설이고 계신가요? “우리 부모님은 재산이 있어서 기초연금은 안 될 거야” 하고 미리 단정하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사실은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재산이 많아도 소득인정액 계산에 따라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충분히 있거든요. 오늘은 그 기준을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기초연금대상

1. 기초연금 수급 조건, 이렇게 됩니다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국내 거주자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소득인정액’이라는 기준이 중요해요.

소득인정액이 위 금액보다 적으면 기초연금 수급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2. 소득인정액이란 뭘까요?

단순히 월급이나 연금만 보는 게 아니라, 재산도 일정 기준으로 환산해서 포함한 금액이에요.

소득인정액 = 실제 소득 + 재산의 소득환산액

3. 2025년 재산 기준과 소득환산 계산법

이제 본격적으로 재산을 어떻게 소득으로 환산하는지 알아볼게요. 재산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거주지별 공제액 (2025년 기준):

4. 실제 예시로 이해해볼까요?

예를 들어 단독가구이고 대도시에 거주하며, 부동산만 보유하고 있다면:

금융재산만 있다면?

부채가 있다면?

5. 재산만 있을 때 받을 수 있는 한도는?

소득이 하나도 없이 재산만 있는 경우, 대도시 기준으로 단독가구는 약 8억 1,900만 원, 부부가구는 12억 2,900만 원까지 기초연금 수급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물론 공제액과 부채 등을 고려한 결과죠.

6. 꼭 알아야 할 팁!

7. 마무리하며: 신청 전에 계산부터!

2025년 기초연금은 재산이 많다고 해서 무조건 탈락하는 제도가 아닙니다. 소득인정액 산정이 핵심이에요. 거주지, 재산 유형, 부채 여부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니 꼭 계산해보고 신청 여부를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어렵게 느껴지면 주변 행정복지센터에서 상담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