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 방법
 
다운로드
 
자격 조건
 

친구 결혼식 축의금 얼마가 적당?

결혼식 초대장을 받았는데 축의금 얼마를 내야 할지 고민되시나요? 관계마다 금액 기준이 다르다 보니 매번 헷갈리는 게 사실입니다. 특히 요즘같이 예식장이 다양하고 물가가 오르는 시기에는 더더욱 기준 잡기가 어려운데요.
이번 글에서는 ‘결혼식 축의금 금액 기준’을 관계별로 딱 정리해 드립니다. 친구, 직장 동료, 지인, 친척 등 상황별로 적정한 축의금 금액이 궁금하셨다면 지금 이 글이 꼭 도움이 되실 거예요.

친구 결혼식 축의금

혹시 이번 주말에 결혼식 있으신가요?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식대가 기준이 되는 이유

축의금을 산정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바로 ‘식대’입니다.
일반 예식장의 식대는 약 5만 원 선, 호텔 예식장의 경우 8만 원 이상이 일반적이죠.
서울 지역은 식사만 해도 8만 원이 넘는 경우가 많아 최근엔 ’10만 원이 기본’이라는 인식도 생겼습니다.
식대 기준으로 최소한의 예의를 지키는 금액을 생각하시면 부담도 줄고, 실수도 줄일 수 있어요.

친구 사이: 얼마나 자주 보느냐가 기준

가장 고민되는 게 바로 ‘친구 사이’의 축의금이죠.
1년에 한두 번 보는 친구와 매달 만나는 친구는 당연히 다르게 챙겨야 하니까요.
– 자주 만나고 연락하는 절친: 20만 원 이상
– 가끔 연락하고 1년에 3~4회 만남: 10~15만 원
– 자주 연락하지 않지만 초대받은 경우: 식대 수준(5~10만 원)
또한, 청첩장 모임 등에서 받은 대접이 있다면 약간 더 얹어주는 센스도 필요합니다.

 

직장 동료: 사적인 친밀도에 따라 조절

 

같이 일하는 동료는 축의금 정하기 더 어렵습니다.
– 업무적으로만 관계: 5만 원
– 사적으로도 친한 경우: 10만 원 이상
– 함께 고생한 ‘전우애’ 관계: 더 챙겨줘도 OK
같은 팀이라고 해도 개인적으로 친한 정도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한 팀으로 오래 함께한 동료라면 형식보다 마음을 담아주세요.

 

지인, 동호회 사람 등 관계가 애매할 때

 

동호회, 스터디, SNS 친구처럼 정확히 ‘지인’이라 부르기 애매한 관계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식사 유무’를 중심으로 판단해 보세요.
– 단순한 참석, 식사만 할 경우: 5만 원
– 대화가 잦고 교류가 있는 지인: 7~10만 원
식대에 약간의 정성을 더해 적정 금액을 산정하면 됩니다.

 

가족 및 친척: 유대감이 핵심

 

가족이나 친척이라고 해도 유대감이 약하다면 무조건 많이 할 필요는 없습니다.
– 명절에만 보는 친척: 10만 원
– 연락도 하고 가끔 만남: 15만 원
– 유년기부터 친밀한 사이: 20~30만 원
‘가족이니까 많이 해야 한다’는 생각보다는 실제 친밀도와 교류 빈도를 중심으로 판단하셔야 억울함도 줄일 수 있어요.

 

축의금 기준 요약표

 

관계추천 금액비고
절친한 친구20만 원 이상자주 연락하고 고민도 나눔
가끔 연락하는 친구10~15만 원1년에 3~4회 정도 만남
직장 동료(사무적)5만 원업무 관계만 있음
직장 동료(친밀)10만 원 이상사적으로도 교류 있음
지인/동호회5~10만 원관계 정도에 따라
가까운 친척20~30만 원어릴 때부터 함께 지냄
왕래 적은 친척10~15만 원명절에만 보는 경우 등

 

Q&A

 

Q1. 축의금은 꼭 현금으로 해야 하나요?
A. 요즘은 계좌이체도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가능하다면 현금이 예의상 좋습니다. 신랑신부 측에서 방명록과 함께 정리하기도 수월하니까요.

 

Q2. 축의금 봉투에는 얼마를 적어야 하나요?
A. 이름만 적는 것이 일반적이며, 금액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 것이 관례입니다. 다만 혼동이 없도록 봉투 내부에 다시 한 번 메모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Q3. 식사만 하고 축의금 안 내도 되나요?
A. 일반적으로는 식사만 하더라도 축의금을 내는 것이 예의입니다. 최소 식대 수준은 준비하셔야 어색하지 않아요.

 

Q4. 부부가 함께 참석할 때는 얼마를 내야 하나요?
A. 보통 1.5~2배로 계산합니다. 각자의 관계 정도에 따라 금액을 조절하세요.

 

Q5. 못 갈 경우에도 축의금을 보내야 하나요?
A. 초대받았으나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일정 금액을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한의 예의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결혼식 축의금, 기준만 알면 더 이상 어렵지 않다

 

결혼식 축의금은 단순한 금액이 아닌 ‘마음’과 ‘관계’의 척도입니다.
너무 적어 민망하거나, 너무 많아 부담되지 않도록 이번 글에서 소개한 기준을 참고해 보세요.
사람마다, 상황마다 다를 수 있으니 내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절해 주시는 게 가장 현명한 선택입니다.
이제는 고민 그만하고, 진심을 담은 축하를 전하세요!

 

Leave a Comment